수개월 째 꽁꽁 얼어붙은 주택 거래량. 최근 윤석열 정부의 각종 규제 해제 효과에 힘입어 조금 늘어났을까요? 정답은 'No'.
12월 2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이번주 서울 및 수도권 아파트 매매수급지수가 2012년 7월 한국부동산원 조사 시작 이후 약 10년 5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수도권 아파트 수급지수
수도권아파트수급지수는 70선이 무너졌고 전국의 매매 수급지수는 조사 이래 가장 낮았습니다. 12월 2일 한국부동산원 조사에 따르면 이번주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66.8로 지난주(67.9)보다 하락했습니다. 수급지수는 조사 기간내 상대 비교지만 단순 수치로만 볼 때 2012년 7월 첫주(58.3) 조사 시작 이후 약 10년 5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 매매수급지수란?
100을 기준으로 이보다 낮을수록 시장에 집을 사려는 사람보다 팔려는 사람이 많다는 것을 의미.
서울 아파트 수급지수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지난해 11월 셋째주 조사에서 99.6을 기록하며 기준선 밑으로 떨어진 뒤 1년이 넘도록(55주 연속) 살 사람보다 팔 사람이 많은 매수우위 시장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지난달에도 한국은행의 금리 인상 기조가 이어지면서 좀처럼 매수심리가 회복되지 않고 있습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 10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계약일 기준)은 총 555건. 이는 2006년 실거래가 조사를 시작한 이후 월별 거래량으로 역대 최저치입니다.
서울시 자치구별 거래량
종로구 아파트 거래량은 10월 한 달간 4건에 그쳤고 용산구(8건), 광진구(9건), 강북구(10건), 금천구(10건) 등은 거래량이 10건 이하에 그칠 정도로 극심한 거래 절벽 상황입니다. 자치구별 매매수급지수는 노원·도봉·강북구 등 동북권이 지난주 64.5에서 금주 63.9로 떨어졌습니다.
수도권 전체 매매수급지수 역시 지난주 70.5에서 금주 69.4로 떨어지며 지수 70선이 깨졌습니다. 2012년 7월 첫주(61.5) 이후 10년 4개월 만에 최저 수준입니다. 지방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도 79.1로 지수 80이 무너졌습니다.
규제지역 해제 효과 없다?
정부가 지방과 경기·인천의 규제지역을 거의 다 풀었지만 매매시장은 좀처럼 회복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전국 아파트 매매수급지수(74.4)는 2012년 7월 부동산원이 매매수급지수를 조사하기 시작한 이래 역대 최저를 기록했습니다.
전세수급지수도 마찬가지?
전세 시장도 전세 물건은 늘어나는데 세입자는 찾기 힘든 상황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서울 아파트 전세수급지수는 지난주 68.5에서 이번주 66.8을 기록했고, 수도권 전세수급지수는 이번주 68.5로 떨어지며 지수 70 밑으로 내려왔습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경제정책방향] 부동산 정책 총정리· 총평 (2) | 2022.12.22 |
---|---|
2023년 바뀌는 부동산 제도 총정리 [대출 · 세금 · 청약] (0) | 2022.12.18 |
2023년 부동산·주택 시장 집값 전망 [주택산업연구원] (0) | 2022.12.17 |
둔촌주공 '올림픽파크 포레온' 일반분양 경쟁률·당첨가점 전망은? (2) | 2022.12.05 |
'깡통전세' 확인하는 온라인 서비스가 나왔다? [경기부동산포털] (0) | 2022.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