깡통전세란?
한 집의 전세 가격이 매매 가격과 같거나 더 높은 경우를 이른바 ‘깡통전세’라고 합니다. 더 정확히 설명하자면, 전세 보증금이 주택의 매매가격과 대출금의 차액을 초과해버려, 경매로 넘어갔을 때 전세 보증금을 떼일 수 있는 주택을 말하는데요.
요즘 전국적으로 주택 매매 가격이 급락하면서 깡통주택이 더욱 쏟아지고 있습니다. 이는 곧 깡통주택이 집주인의 의도와 상관없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인데요. 그래서 기존 전세 세입자는 현재 살고 있는 전셋집이 혹시 '깡통주택'이 된 것은 아닌지, 또 새로 들어갈 전셋집을 찾는 예비 세입자들은 전세 매물이 깡통주택이 아닌지 꼼꼼히 알아보는 게 중요해졌습니다.
경기부동산포털 '깡통전세 알아보기' 서비스
그래서, 깡통주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친절한 공공서비스가 나왔는데요. 최근 수개월 새 깡통주택이 집중적으로 발생한 경기도가 12월 1일부터 '깡통전세 알아보기'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부동산정보 누리집인 ‘경기부동산포털’(gris.gg.go.kr)에서 이용할 수 있는데요.
‘경기부동산포털’로 접속 후 ‘깡통전세 알아보기’ 메뉴에서 지도로 선택하거나 주소지를 검색하면 검색 지역의 ‘최근 거래 정보(전세/매매 정보)’가 표시되며, 최근 마지막 거래 내역을 기반으로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을 확인해 참고할 수 있어요.
최근 1~2년 내 전세가격과 매매가격 등 거래 내역이 정리돼 있으며, 최근 거래가 없는 건물일지라도 위치 반경 1㎞ 이내 주변 모든 거래정보를 제공해 거래가격을 추정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이와 함께 깡통전세 유형 정보, 부동산 계약 전·후 할 일 등 '꿀팁'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지금 당신이 살고 있는 집이 깡통전세 상태인지 알아보고 싶다면 아래를 클릭▼
https://gris.gg.go.kr/kapa/selectKapaCheckView.do
경기부동산포털
경기도 부동산정보포털은 도내 부동산 관련 각종 정보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로 2011년 2월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현재 ▲부동산가격 ▲부동산종합정보-일필지정보, 지도서비스를 기반한 ▲항공지적도 ▲토지이용계획지도 등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 중입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경제정책방향] 부동산 정책 총정리· 총평 (2) | 2022.12.22 |
---|---|
2023년 바뀌는 부동산 제도 총정리 [대출 · 세금 · 청약] (0) | 2022.12.18 |
2023년 부동산·주택 시장 집값 전망 [주택산업연구원] (0) | 2022.12.17 |
둔촌주공 '올림픽파크 포레온' 일반분양 경쟁률·당첨가점 전망은? (2) | 2022.12.05 |
서울·수도권 아파트 거래량 변화 [매매·전세수급지수] (0) | 2022.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