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2023년 개통·착공하는 서울·수도권 지하철 노선 종합 정리

요즘부동산 2023. 1. 3. 20:04

서해선 전동차량 / 저작권: 비영리 2.0 대한민국

 

서울 주요지역으로 이동하려면 기본 1시간, 또는 그 이상 걸리는 교통 불편 지역이 수도권에 아직 많습니다. 신규 지하철 개통으로 2023년에 다소나마 불편이 개선되는 지역은 어디일까요? 또 2~3년 뒤 개통을 목표로 한창 지하철 공사가 한창인 지역은 어디일까요? 오늘 포스팅에서 한 눈에 보실 수 있도록 종합해보겠습니다. 

 

# 2023년 개통 2개 노선은?   

올해 수도권에서 개통되는 지하철은 모두 2개 노선입니다. 양적으로는 많지 않지만 해당 지역에서 갖는 의미는 큽니다. 지하철 불모지였던 수도권 서부와 북부 지역에 새 노선이 개통됩니다. 서해선 연장선과 국철 1호선 동두천~연천 연장선입니다. 

 

① 서해선(일산~부천) 2023년 개통 

서해선 전철은 현재 원시(안산)~시흥시청~소사(부천) 구간에서 운행 중입니다. 올해 추가 개통되는 구간은 소사(부천)~김포공항~일산(고양)입니다. 수도권 서부를 남북으로 관통하는 노선으로 한강을 지하로 통과하도록 건설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현재 고양 대곡역(경의중앙·3호선)에서 김포공항역을 지하철로 이동하려면 35~40분 걸리지만, 서해선이 개통되면 10분 가량 밖에 안걸려 약 25분 이상 절약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서해선이 개통되면 김포공항역은 5호선, 9호선, 공항철도, 김포골드라인을 포함해 총 5개 노선이 지나는 매머드급 환승역이 됩니다. 수도권 서부를 거미줄처럼 연결하는 노선이라는 상징성이 커집니다. 

 

이 구간 개통은 당초 2021년에서 2022년, 다시 2023년으로 연이어 연기됐습니다. 현재 정부 계획에 따르면 2023년 6월까지 시운전을 마무리하고 7~8월쯤 실제 개통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국토교통부 새해 업무추진계획에서도 2023년 하반기로 표시됐습니다. 

 

② 전철 1호선(동두천~연천) 2023년 10월 개통

수도권 전철 1호선의 북부 종점은 현재 소요산역(동두천 소재)입니다. 한국철도공사는 경원선 철도 구간에 있는 동두천역~연천 총 20.8㎞ 구간에서 1호선 전철을 운행하기 위해 공사를 진행 중입니다. 개통 목표는 2023년 10월입니다. 이 노선은 연천군 주민들의 서울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예정입니다. 

 

# 2023년 착공 3개 노선은?

지하철 사업은 실제 개통을 해야 비로소 의미가 있지만 오랜 숙원 노선이 착공을 하는 것만으로도 때론 교통 불편 지역에 적지 않은 기대감을 불어넣기도 합니다. 2023년 서울, 수도권에선 모두 3개 노선이 공사에 착수합니다. 

 

① 서울 9호선 4단계(중앙보훈병원~고덕강일) 착공

먼저 서울 9호선 4단계 구간 사업 본공사가 1월 3일 착공했습니다. 이 사업은 기존 3단계 구간 종점인 강동구 중앙보훈병원에서 고덕강일1지구까지 총 길이 4.1㎞ 구간에 정거장 4개를 건설하는 사업입니다. 서울 도시철도 9호선은 2009년 1단계, 2015년 2단계, 2018년 3단계 구간이 개통돼 현재 강서구 개화역에서 강동구 중앙보훈병원역까지 41.4㎞ 구간에서 운행 중입니다. 

 

② 서울 경전철 위례신사선 착공

2023년 초 착공 예정인 서울 위례신사선은 서울 강남구 신사역에서 위례신도시 위례중앙역(성남시 창곡동)까지 총길이 14.74㎞ 구간에 12개역을 건설하는 경전철 사업입니다. 청담(7호선), 봉은사(9호선), 삼성(2호선), 학여울(3호선), 가락시장(3,8호선) 등 강남권 주요 환승역을 지나는 노선입니다. 경전철 차량으로는 현재 서울 신림선에서 운행 중인 고무차륜 경전철이 도입될 것으로 보입니다. 위례신사선은 향후 위례중앙역에서 남한산성역(8호선), 성남산업단지을 지나 삼동역(광주시)까지 잇는 '위례삼동선'과도 이어질 전망입니다. 

 

③ GTX-C노선(수원~양주) 착공

수도권 GTX-C노선은 수원~인덕원~삼성~청량리~의정부~양주를 연결하는 수도권 남북 관통 노선입니다. 2021년 6월 현대건설컨소시엄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지정된 뒤 실시설계를 거쳐 2022년 내 착공 예정이었지만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 지하통과 반발 등 각종 이슈에 부딪혀 결국 착공을 2023년으로 넘겼습니다. 국토교통부는 신년 업무보고에서 2023년 하반기 GTX-C 착공을 예고했습니다.  

 

# 2024년 개통 목표로 공사 중인 노선들

 

① GTX-A노선(동탄~수서, 서울역~운정)

GTX-A노선 재정구간(동탄~수서)이 2024년 상반기, GTX-A 민자구간(운정~서울역) 구간이 2024년 하반기 개통 예정입니다. 이후 2025년에는 삼성역을 무정차 통과하는 조건으로 동탄~운정 전구간 개통 예정입니다. 삼성역 개통은 2028년으로 예상되지만 정부는 최대한 당겨보겠다는 계획입니다. 

 

  서울 8호선 연장선(암사~별내)

서울 지하철 8호선의 현재 종점인 강동구 암사역에서 구리, 남양주(별내)까지 연장하는 노선 공사가 현재 진행 중입니다. 2024년 6월 개통 예정입니다. 8호선 연장선은 구리역에서 경의중앙선, 별내역에서 경춘선, 별내별가람역에서 4호선(진접선) 환승이 가능합니다. 남양주 별내신도시 주민들은 8호선이 개통되면 잠실역까지 20분 만에 이동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③ 인천 1호선 연장선(계양~검단) 

인천 지하철(도시철도) 1호선의 현재 북쪽 종점은 계양역(공항철도 환승)입니다.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연장선은 인천 도시철도 2호선 검단역까지 잇고 그 사이에 2개역(가칭 계양천역, 인천원당역)을 추가 건설하는 사업입니다. 2024년 12월 개통 예정입니다.